시대별 한복

일상예복Ⅰ, 日常禮服Ⅰ, Lady’s formal attireⅠ

· 시대 : 삼국시대, 통일신라

· 신분 : 미분류 / 여자

· 출처 : ( 각저총 벽화 여인 『북한의 문화재와 문화유적』Ⅰ(2011), p.95. )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표제어, 연관어 정보를 제공하는 표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표제어 연관어
일상복 일상예복 겉옷 일상예복Ⅰ, 日常禮服Ⅰ, Lady’s formal attireⅠ

각저총은 1935년에 중국 지린성[吉林省] 지안현[集安縣]에서 발견된 고구려 고분으로 4세기 말~5세기 초로 추정하고 있다. 무덤 벽화 속 씨름하는 모습을 특징으로 삼아 씨름무덤 또는 씨름의 옛말인 각저를 사용하여 각저총이라고 불렀다. 무덤은 두 칸이고, 벽화는 앞방과 널방의 네 벽과 천장에 인물풍속도가 있다. 앞방과 통로에는 나무과 맹견이, 북벽에는 주인의 실내생활도가, 동벽에는 씨름모습과 부엌이, 서벽에는 수레와 나무가, 남벽에는 나무가 그려져 있다.
북벽 실내 생활도에 등장하는 여주인은 쪽구들[온돌]을 깔고 앉아있는데 상의는 몸에 꼭 맞는 흰색 속저고리를 입었으며, 소매가 길어서 손목까지 내려오고 그 위에 엉덩이 아래로 길게 내려오는 긴 저고리를 겹쳐 입고 좌임으로 여몄다. 긴 저고리는 소매통이 비교적 넓지 않으며 길이는 속저고리보다 조금 짧아 손목이 보인다. 소매와 도련, 깃 부분에 주선(主襈)과 부선(副襈)을 대서 장식하는 것은 여자복식, 특히 귀족의 신분에서만 주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의의 치마는 자연스러운 잔주름이 잡혀있는데 마치 현대 기계주름과 유사한 플리츠스커트처럼 보인다. 아랫단에 선(襈)은 따로 대어져 있지 않으며 길이는 신분이 높은 만큼 착용 시 끌리는 정도이다. 허리에는 띠를 둘러서 매었고, 머리에는 고구려 여인들이 즐겨하였던 천을 둘러서 매는 백색 건(巾)을 썼다.
 

참고문헌

김미자(1997), 「고구려 고분벽화를 통해 본 고구려 복식에 관한 연구」, 『고구려발해연구』 4집, 고구려발해학회.

김연수(2015), 「고구려 고분벽화의 성별분류와 여성 두식 연구」, 『고구려발해연구』 53집, 고구려발해학회.

한성백제박물관(2016),『고구려 고분벽화』

[집필자 : 최은수(崔銀水), 국립민속박물관]

연관이미지

빠른 이동 메뉴
  • 주소 : (03060) 서울시 종로구 종로구 율곡로 33 안국빌딩 7층
Copyright © KCDF.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