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별 표준영정

전체 : 101 페이지 : 1/ 11

- 조선 중종 32년(1537) 영의정 권철의 막내아들로 태아나 늦은 나이인 46세(1582년,선조 15년)에 문과에 급제하였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전라도 광주목사로 임명되었고 임진왜란(1592~1598)중 전주성을 점령하여 호남지방을 확보하려는 왜군을 1592년 음력 7월8일 충청남도 금산군과 전라북도 완주군 사이의 이치고개에서 물리쳤다, 이치대첩은

  고대 남북국시대 때 신라 말기의 격화된 사회적 모순을 극복하고 새로운 통합을 이루기 위한 목적으로 벌인 통일전쟁을 주도한 후고구려 건국 군주이다. 901년 지방 호족세력에 의하여 장군으로 추대된 뒤 후고구려(후에 마진(摩震), 태봉(泰封)으로 개정)를 건국하였다. 광평성(廣評省)을 비롯한 여러 관부를 두어 국가체제를 정비하였고, 한때 전국의 2/3 가량

 문종실록 2권 문종즉위년 : 이홍위(李弘暐)는 덕이 온화하고 천자가 총명하여...  문종실록 3권 문종즉위년 : 세자는 타고난 자질이 뛰어나게 총명하여 학문이 날로 향상되니...  숙종실록 32권 : 어진 명성과 아름다운 태도를 지녔으며 세손과 원사로서 어린 시절부터 세종이 등에 업어주는 사랑을 입었는데 (중략) 정

삼국사기 를 보면, " 무령왕은 키가 8 척이고, 눈매가 그림같이 아름다웠으며, 인자하고 너그러워 민심이 따랐다 " 라고 돼 있으며 또한 복식에 대해서는 " 오라관에 금제관식을 했으며 자주색의 소매가 큰 포(袍)를 입고 푸른 비단바지에 흰 가죽 띠를 두르고, 검은 가죽신을 신었다 " 라고 되어 있다.  

 성은 김씨(金氏), 이름은 덕만(德曼)이다. 진평왕(眞平王)의 장녀이며, 어머니는 마야부인(摩耶夫人)이다.   선덕여왕 은 재위 초반 민생의 안정에 주력하여 가난한 이들을 보살피도록 하는 구휼정책을 활발히 추진하였으며, 동아시아에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천문대인  첨성대 를 건립하여 농사에 도움이 되게 하였다.

 호는 면암(勉庵), 본관은 경주(慶州), 포천(泡川) 출신. 이항로(李恒老)의 문인이다. 조선 말기의 거유(巨儒)로서 1855년(철종 6) 정시문과(庭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하여, 1868년(고종 5) 장령(掌令)으로서, 토목공사(土木工事)로 인한 국민 부담의 가중, 당백전(堂百錢)의 발행에 따른 재정의 파탄 등을 들어 흥선 대원군(興宣大院

 호는 단재(丹齋), 본관은 고령(高靈). 충북 청주(淸州) 출신. 어려서부터 독서에 열중, 제가(諸家)의 책을 박람(博覽)하였으며, 20세에 성균관 박사(博士)를 지냈다.  황성신문(皇城新聞), 대한매일신보(大韓每日申報) 등에 논설을 쓰고, 독사신론(讀史新論)을 발표하는 한편, 영웅전을 써서 민족의식의 앙양과 독립정신의 고취에 힘썼

 호는 사임당(師任堂 : 思任堂 : 師姙堂), 시임당(媤姙堂), 임사재(任師齋). 본관 평산(平山). 강원도 강릉(江陵)출신. 율곡 이이(李珥)의 어머니이다. 사임당이 태어난 강릉은 오랜 역사를 통하여 빛나는 문화와 전통이 서린 곳으로 서쪽으로는 태백산맥의 대관령이 병충처럼 둘러있고, 동쪽에는 푸르른 동해바다가 끝없이 펼쳐진, 산수와 자연이 그립같

 호는 의암(毅庵), 본관은 고흥(高興). 춘천출생. 이항로(李恒老)의 문인이다. 1876년(고종 13) 병자수호조약(丙子修好條約)을 체결할 때 문하(門下)의 유생들을 이끌고 상소하여 이를 반대했고, 1894년(고종 31) 갑오경장(甲午更張) 이후 친일내각(親日內閣)이 들어서고 명성왕후 시해사건이 발생하자 의병을 일으켜 충주(忠州), 제천(堤川)

 교명 안드레 (Andre), 1836년 (헌종 2) 프랑스 신부 모방(P. Maubant)에게서 영세(領洗)를 받고 예비 신학생으로 선발되어 상경(上京)하였다. 역관(譯官) 유진길(劉進吉)에게 중국어를 배우고, 모방 신부의 소개장을 가지고 중국으로 건너갔다. 조선전교(朝鮮傳敎)의 책임을 진 마카오의 파리 외방전교회(外邦傳敎會) 칼레리 신부로부터

검색
빠른 이동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