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별 문화상징

금강산
선정취지 및 필요성
  • 금강산은 ‘일만 이천 봉’으로 표현되듯이 우리강산 중 가장 빼어나고 수려한 상징물이다. 특히 남북화해 및 교류의 물꼬를 튼 상징이기도 하다.
역사적 배경 및 상징물의 의미
  • 강원도 회양군과 통천군·고성군에 걸쳐있는 산으로 높이 1,638m이다. 금강산은 동해에 임박한 태백산맥 북부의 아름다운 명승지로서,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그 이름이 알려져 있다. 최고봉인 비로봉(1,638m)을 중심으로 주위가 약 80㎞에 이르며, 면적이 약 160㎢에 이른다. 금강산의 ‘금강(金剛)’이라는 말은 불교 경전인 『화엄경(華嚴經)』에 “해동에 보살이 사는 금강산이 있다”고 적힌 데서 연유되었다고 한다. 금강 외에도 사계절의 변화에 따라 그 경색이 달라져 판이한 정취를 주기 때문에 계절마다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는데, 봄에는 온 산이 새싹과 꽃에 뒤덮이므로 금강이라 하고, 여름에는 봉우리와 계곡에 녹음이 깔리므로 봉래(蓬萊)라 하고, 가을에는 일만 이천 봉이 단풍으로 곱게 물 드므로 풍악(楓嶽)이라 하고, 겨울이 되어 나뭇잎이 지고나면 암석만이 앙상한 뼈처럼 드러나므로 개골(皆骨)이라고 한다. 이와 같이 여러 가지의 호칭이 있으면서도 일반적으로 ‘금강산’으로 통칭된 것은 이 산이 불교의 영지로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금강산 일대는 태백산맥의 분수령을 이루며 남북으로 길게 뻗었는데, 그 동쪽과 서쪽으로는 주봉에서 갈라진 산줄기와 수많은 산봉우리가 잇달아 솟아 ‘일만 이천 봉’을 이루고 있다. 일만 이천 봉이 형성한 분수계를 경계로 하여 서쪽은 내금강, 동쪽은 외금강으로 구분한다. 내금강에는 북한강의 상류인 동금강천과 금강천이 흐르고 외금강에는 고성 남강(南江) 및 그 지류인 온정천(溫井川) 등이 흐른다. 내금강을 흐르는 북한강 상류의 하천들은 비교적 경사가 완만하나, 외금강의 하천들은 길이가 짧고 경사가 매우 급하여 침식력이 더 크므로 산세의 험한 정도나 골짜기의 깊은 정도에 있어서 외금강 쪽이 훨씬 뛰어나고 지역적 범위도 넓다. 그리하여 흔히 내금강은 온자우아(蘊藉優雅)하여 여성적이고, 외금강은 웅건수특(雄健秀特)하여 남성적이라고 비교한다. 금강산의 동쪽 해안에는 수원단(水源端)으로부터 구선봉(九仙峰)에 이르기까지 아름다운 석호(潟湖)와 기암이 어울린 해금강이 있다.
다른 나라의 유사 사례
기대효과
  • 우리에게 있어 금강산은 민족의식의 샘터이다. 금강산은 봉들이 수려하기 때문에 풍겨 주는 영기(靈氣)가 있고, 그 영기는 산의 영기로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민족의 영기로서 승화되고 있다.
문화사업 및 비영리 분야에서의 활용방안
  • 관광자원으로서 뿐 아니라, 남북화해의 물꼬를 튼 상징이기에 이 양면을 아우르는 문화콘텐츠개발이 가능할 것이다. 아울러 자연생태 및 역사유적에 대한 기초 및 정밀조사도 필요하다.
참고자료
  • 최남선, 『조선의 山水』, 동명사, 1947 손경석, 『한국의 산천』,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6 유홍준, 『나의 북한 문화유산답사기(하)』, 중앙M&B, 2001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편찬부,『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1)』,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유홍준, 『금강산』, 학고재, 1998 <임학성>
관련이미지
빠른 이동 메뉴
  • 주소 : (03060) 서울시 종로구 종로구 율곡로 33 안국빌딩 7층
Copyright © KCDF.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