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별 문화상징

거북선
선정취지 및 필요성
  • 한국인이 만든 세계적인 전함으로서 이순신과 더불어 ‘해양강국 조선’의 대표적 상징물로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국외적으로는 아직 널리 알려지지는 못한 현실이고, 해양문화로서의 거북선마케팅 역시 절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역사적 배경 및 상징물의 의미
  • 거북선(龜船)이라는 명칭은『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에 처음 나타난다. 1413년(태종13) 5월초에 “거북선이 싸우는 모습을 보았다”고 하였고, 2년 후에는 다시 “거북선이 매우 견고하여 적선이 해치지를 못한다.”고 되어 있으나, 어떤 형태와 규모였는지에 대해서는 자세히 적혀 있지 않아서 알 수 없다. 그 후 180여 년 간 거북선에 관한 기록이 보이지 않다가 이순신의『난중일기(亂中日記)』2월 8일 기록에서 “거북선에 사용할 돛 29필을 받다”라는 기록이 있고 장계(狀啓)에도 거북선에 관한 내용이 있다. 거북선은 임진왜란 때 돌격전선으로서 기능을 발휘함에 따라 전란 후에는 그 모양이 조금씩 변하여 용머리(龍頭)가 거북머리(龜頭)로 되고, 치수도 일반적으로 장대(長大)해지는 등 차차 크게 건조되었는데, 1795년(정조19)에 간행된『이충무공전서(李忠武公全書)』에 ‘전라좌수영 거북선’ 및 ‘통제영 거북선’의 그림과 함께 건조에 필요한 부분적인 치수가 기록되어 있다. 그런데 거북선의 정확한 구조에 대해서는 알 수가 없다. 다만 일본 측 사료에 ‘철갑선(鐵甲船)’이라고 기록되어 있어서 그동안 ‘세계최초의 철갑선’으로 숭앙되었는데, 사실 우리 측 기록에 거북선이 철로 장갑되어 있다는 기록은 없다. 이순신의 장계(狀啓)나 『난중일기(亂中日記)』에도 칼 송곳을 꽂았다고는 되어 있으나 철로 덮었다는 기록은 없고, 『충무공행장(忠武公行狀)』에도 나무로 뚜껑을 씌우고 칼을 꽂아 적이 뛰어 들 수 없게 했다고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현재 거북선이 철갑선이냐를 두고 논란이 많다. 거북선이 해전에 처음 참가한 것은 1592년 5월 29일이며 이때부터 거북선은 여러 전투들에서 종횡무진 활약하여 조선수군이 연전연승하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다른 나라의 유사 사례
  • 거북선은 포(砲)를 실고 적을 공격하는 판옥선(板屋船)을 호위하는 선봉대 ‘돌격함’이었다. 전선(戰船)의 규모나 무기장착 방식에 차이가 있긴 하지만 외국에도 레판토해전(1571년)에서 가장 강력한 화력을 보였던 베네치아의 갤리아스(Galliass)선이나 1588년에 영국함대에게 격침당한 스페인의 무적함대 아르마다(Armada), 임진왜란 때 일본 측 전선이었던 안택선(安宅船) 등 거북선[판옥선] 같은 해전용 배가 있었다.
기대효과
  • 세계 4대해군 제독, 이순신과 함께 임진왜란을 승리로 이끈 거북선은 국내외에 우리나라를 해양대국으로 각인시키는 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최근 충무공 탄생 460주년 기념으로 건조된 거북선이 한강에서부터 비무장지대를 지나 통영까지 운항되면서 시민들의 많은 관심을 받았다. 거북선의 복원에만 그치지 않고 실제운항을 통해 시민들에게 살아있는 역사교육의 현장을 제공한 셈이다. 이번 문화상징 선정을 통해 시민들의 가슴에 여운을 남길 수 있는 더 많은 참신한 행사들이 기획될 것으로 기대된다.
문화사업 및 비영리 분야에서의 활용방안
  • 거북선이 세계최초의 철갑선이건 아니건 간에 거북선은 왜침을 굳건히 막아낸 우리 민족과 해군의 자부심이다. 따라서 거북선에 대해서도 다각도적 접근이 필요하다. 정부예산도 과거의 거북선복원 연구지원에만 그칠 것이 아니라 자라라는 아이들에게 꿈과 희망을 심어줄 수 있는 해양문화체험 행사의 핵심아이템으로 거북선이 당당히 활용될 수 있으며, 외국인들의 한국문화체험프로그램에 거북선 항해일정을 개설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생각의 전환을 통해 400여 년간 잠들어 있던 거북선이 우리에게 희망의 메시지를 전해줄 것이다. 아울러 바다를 통해 세계로 뻗어가는 대한민국의 상징이 될 것이다.
참고자료
  • 김재근,『우리 배의 역사』, 서울대학교출판부, 1989. 김정진·남경완,『거북선-신화에서 역사로』, 랜덤하우스중앙, 2005 <이기복>
빠른 이동 메뉴
  • 주소 : (03060) 서울시 종로구 종로구 율곡로 33 안국빌딩 7층
Copyright © KCDF.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