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별 문화상징

호랑이
선정취지 및 필요성
  • 호랑이는 대륙과 해양을 향해 포효하는 반도의 기상을 표상하기도 하며, 서울 올림픽의 상징으로 선정되기도 하는 등, 우리 민족의 대표적인 동물 상징이었다. 곰과 함께 단군신화에 출현하지만 야성의 소유자로 인간화를 위한 통과의례에 실패한 존재로 묘삿된다. 그러나 신앙과 의례의 측면에서는 곰을 훨씬 능가하는 종교적인 상징으로 간주되었다. 특히 호랑이는 산신 신앙과 풍수신앙의 측면에서 산신(혹은 산신의 사자) 혹은 방위의 수호신으로 굳건한 자리를 지켜왔으며, 설화나 민화 속에서도 혹은 벽사의 민속에서도 한국인의 삶에 강한 영향을 미쳐왔다는 점에서 한국의 대표적인 동물상징이다.
역사적 배경 및 상징물의 의미
  • 단군신화에 등장하는 호랑이는 인내로써 자신의 야성을 순화하지 못한 신화적 존재로 묘삿된다. 그러나 인간화하지 못한 맹수의 성격으로 인해 호랑이를 숭배하는 풍속은 곰의 신앙과 의식보다 훨씬 강력하였다. 여기에는 이른바 신라 헌강왕 때의 기록 이래로 빈번하게 등장했던 호환이 한목 거든 측면이 있다. 우리민족에게 호랑이는 산의 지배자로 강력하게 인식되었다. 가령, 이규경의『오주연문장전산고』의 표현처럼, 호랑이는 산을 지배하는 산군(山君)으로 군림해왔다. 산군 이외에도 산군자(山君子), 산령(山靈), 산신령, 산중영웅(山中英雄)이라는 표현 속에서도 그러한 느낌을 강하게 받는다. 산을 누비며 영약을 쫓는 심마니들은 호랑이를 산신령으로 받들었다. 이렇게 호랑이는 산신 자체이면서도 여러 산신도나 산신탱화에서 산신의 사자로도 등장한다. 기우제에서도 호랑이가 동원되었는데, 용과 적대할 수 있는 힘으로 인해 용소에 호랑이 머리를 침수시켜 잠룡한 부동의 용을 자극하여 승천시킴으로써 비를 얻을 수 있다고 여겼던 것이다. 풍수에서는 사신관념에 입각해 서쪽의 산세를 우백호로 설정하면서 호랑이의 수호신적인 측면을 부각시키고 있다. 민화 속에 등장하는 호랑이는 삿된 귀신과 기운을 물리치는 벽사의 영물로 묘삿된다. 매년 초에 호랑이의 그림을 대문에 붙여 벽사하려는 관습은 궁궐이나 민가에서 보편적으로 행해졌다. 『동국세시기』에는 호랑이의 그림을 붙여 재앙과 역병을 물리친다는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결국 산을 근거로 하는 호랑이의 용맹성과 강력한 야성의 힘으로 호랑이에 대한 갖가지 신앙이 강화되었을 것이라 짐작된다.
다른 나라의 유사 사례
  • 중국에서도 12간지에 호랑이가 들어 있고 사신도를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로 간주하였다. 특히 가뭄이 심하게 들 때, 용이 거한다고 여겨지는 용소에 호랑이 머리나 뼈를 침수시켜 비를 비는 침호두(沈虎頭)의 기법이 설행되었으며, 이러한 양식은 조선시대 기우제에도 수용되어 기우제 12제차 중의 6차에 한강에서 침호두하는 것이 공식화되었다.
기대효과
  • 대륙과 해양에 끼여 위축된 토끼의 이미지가 아니라 대륙과 해양을 호령하는 기백과 웅지를 지닌 호랑이의 기질을 민족의 캐릭터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문화사업 및 비영리 분야에서의 활용방안
  • 한국호랑이는 지나치게 “호돌이”라는 단일한 캐릭터로 정착하였다는 점에서 여러 다양한 호랑이의 기질과 호랑이에 대한 우리의 관념을 표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참고자료
  • 조자용,『韓虎의 미술』, 삼화출판사, 1974. 『한국의 호랑이』, 국립민속박물관, 1988. <최종성>
관련이미지
빠른 이동 메뉴
  • 주소 : (03060) 서울시 종로구 종로구 율곡로 33 안국빌딩 7층
Copyright © KCDF.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