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복사전

남자 저고리

저고리는 남녀노소 누구나 하의 위에 입는 가장 기본이 되는 짧은 상의(上衣)이다. 한자어로는 ‘赤古里’로 표기된다. 조선시대 기록에서 처음 확인되지만 착용한 역사는 우리 민족의 역사와 함께 한다.
남녀의 저고리 구조는 기본적으로 유사하다. 좌우의 등솔기로 연결되는 길 2장과 좌우 소매, 앞길 중심선에 달리는 좌우의 크고 작은 섶 하나씩, 그리고 겉깃과 고대, 안깃으로 이어지는 긴 길이의 깃 한 장으로 구성된다. 옷에 따라서는 겨드랑이에 무가 달리기도 하고 겨드랑이를 장식하는 곁막이가 달리기도 한다. 좌우 앞길의 섶과 몸판에 고름을 달아 왼쪽 섶이 오른쪽 섶을 덮는 우임(右衽) 방식으로 여며 입는다.
남자저고리는 바지와 함께 입는 기본적인 옷으로 포(袍)의 받침옷으로 착용되었다. 속옷으로서의 역할을 하였기에 별다른 장식이 없다. 깃 모양이 18세기까지는 칼깃형이었다가 이후 둥그레깃 형으로 변화되었다. 저고리 길이는 16세기가 17세기보다 짧은 편이다. 임진왜란 이후 남자저고리는 엉덩이까지 내려올 정도로 길어져 옆선에 작은 트임을 주는 경우도 있다. 옆선은 일자형에서 사선형으로 변화했다가 20세기 이후 다시 일자형이 되었다. 조선시대 기록 중 남자저고리 명칭은 저고리 외에 고도(古道), 과두(裹肚), 단삼(單衫), 단삼아(短衫兒), 소단유(小短襦), 유의(襦衣), 장삼아(長衫兒), 적삼[赤衫·尺衫], 한삼(汗衫) 등의 기록이 보이며 국말의 궁중발기에는 저고리, 겹저고리, 핫저고리, 누비저고리, 동저고리, 의대, 동의대, 적삼, 한삼 등의 명칭이 보인다.
아이들도 성인의 저고리와 같은 형태의 저고리를 입었다. 별다른 장식이 없는 민저고리도 입지만 대체로 성인의 저고리보다 다채로운 색상을 입었다. 또한 유아기까지는 긴 고름을 아주 길게 만들어서 가슴을 한 번 둘러주는 돌띠 고름을 달았다. 명절에는 색동 소매를 달거나 회장(回粧) 장식을 하거나 수(繡)를 놓아 엄마의 정성이 담긴 저고리를 입혔다.
 
참고 문헌
박성실(1992), 「조선전기 출토복식의 연구-임진왜란 이전시기를 중심으로-」, 세종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박성실(1996), 「回粧赤古里와 肩亇只 再考」, 『국당손경자교수정년기념논총』.
황유선(1999), 「조선시대 저고리類 명칭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성실(2003), 「16세기 출토 여복(女服)의 복식사적 고찰」, 『坡平尹氏 母子 미라 종합 연구 논문집 2』, 고려대학교 박물관.
박성실 외(2005), 『조선시대 여인의 멋과 차림새』, 단국대학교 출판부.
박성실(2006), 「출토복식을 통해보는 임진왜란 이전 남녀복식의 조형적 특징」, 『韓國服飾』第24號,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집필자 : 이명은(李明恩),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제공 : 김인자(중요무형문화재 제89호 침선장 이수자)]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빠른 이동 메뉴
  • 주소 : (03060) 서울시 종로구 종로구 율곡로 33 안국빌딩 7층
Copyright © KCDF.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