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복사전

치마

저고리와 일습을 이루는 여성의 대표적인 하의(下衣)이다. 의례용과 평상용으로 구분된다. 한자로 '赤亇'라고 표기하는데 저고리[赤古里] 명칭과 함께 『세종실록(世宗實錄)』 권9, 1420년(세종 2) 9월 13일 세종의 모후인 원경왕후 천전의(遷奠儀) 기록에 처음 보인다.
기본 형태는 여러 폭의 옷감을 이어 직사각형태를 만들고 윗부분에 주름을 잡아 허리말기를 달고 좌우에 끈을 단 형태이다. 통상적인 길이의 치마 외에 소치마(小赤亇), 장군(長裙) 표치마(表赤亇) 또는 장치마(長赤亇) 등 다양한 명칭이 확인되며 장식적인 형태의 치마도 있었다. 유물 중에는 치마 밑단을 균일하게 접어 올린 접음단 장식의 치마도 있으며 장치마 중에는 뒤가 끌리는 예복용 치마로, 복부 부분을 접어 박거나 다트 주름을 이용하여 앞뒤 길이에 차이가 나도록 한 경우도 있다.
16세기 치마는 의례용과 평상용으로 구분되어 나타난다. 임진왜란 이전의 의례용치마는 모두 홑치마로서 금사를 넣어 제직한 금직단을 사용하여 화려하게 만든 스란치마와 장식 없이 만든 의례용 치마가 있다. 치마 전체를 금선단으로 만든 치마가 16세기 평산신씨 묘에서 출토되기도 하였다. 청주한씨(16세기 후반), 남양홍씨(16세기 중후반) 배위, 행주기씨(1600년대 초) 묘 출토 동자포도문이 직금된 쌍스란 장식이 있는 치마가 있으며, 강릉김씨의 치마는 채색단의 스란장식이 있다.
17세기의 치마에는 보통 길이의 치마와 긴 길이의 치마, 접음단 장식이 있는 치마가 있으며, 궁중에서 사용된 수보로(繡甫老)라고 하는 전행 웃치마형의 것도 있다. 색상은 점차 홍색과 남색, 자적색이 많이 사용되었으며 특히 궁중에서는 자적색 치마에 스란 장식을 하였다. 효종의 부마였던 정재륜(鄭載崙)의 『공사견문록公私見聞錄』에는 인조대에 궁중에서 치마를 끌고 다니는 것이 풍습이 되어 이를 금하였다고 하는데, 해평윤씨 묘의 치마 유물 중에도 길이가 긴 장치마가 확인된다. 그리고 치마 아랫단 부분에 접음단 장식이 있는 치마도 여러 점 있는데 장기정씨(1565~1614)의 접음단 장식 치마가 대표적이다.
18세기에는 접음단 장식이 있는 치마는 보이지 않고 일반적인 형태의 치마와 장치마가 있다. 저고리의 길이가 짧아지면서 치마를 가슴에 착장함에 따라 전 시대에 비해 일반 치마의 길이도 길어졌다. 치마의 색상으로는 청색, 홍색, 남색, 옥색, 유록색, 자적색 등이 확인된다. 󰡔병와집󰡕에는 거두미에 원삼과 주리군(珠履裙)을 입는 것이 내명부의 상복(上服)이라고 하였는데 땅에 수척이 끌리는 장군(長裙)이라고 명시하고 있어 18세기에도 길이가 긴 치마가 있었던 것이 확인된다. 작자 미상의 조선후기 희곡인 『동상기(東廂記)』에는 신부의 치마로 진홍 겹치마, 남색 홑치마, 청색 평상복 홑치마를 기록하고 있으며, 속치마로 무지기[無竹伊]를 기록하고 있다.
19세기에는 일반적인 치마와 장치마(長赤亇), 웃치마, 스란치마, 대란치마 등의 기록이 보인다. 치마의 색상으로는 청색과 다홍색, 남색, 자적색, 갈매색, 일람색, 양남색 등이 확인되며 예복에는 겹쳐 입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홍색이나 남색 치마에 홍색이나 남색, 자적색의 웃치마를 겹쳐 입었는데 남색 웃치마의 양이 많은 편이다. 궁중이나 반가의 신분 높은 여성들은 치마에 스란 장식을 많이 하였는데 직금이나 부금 방법을 사용하였다. 󰡔거가잡복고󰡕에는 시집갈 때 성대히 꾸미는 것 중에 스란치마[膝襴裙]라는 것이 있다고 한 것을 보아 일반 사가에서도 혼례 때는 스란치마를 입었음을 알 수 있다.
20세기에는 허리말기를 조끼 형태로 만들어 편리함을 더한 치마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또한 여학생들의 교복이 치마저고리의 개량에 큰 시발점이 되었다. 긴저고리에 통치마 양식이 채택됨에 따라 해방 직후 신여성들은 짧아진 통치마에 하이힐을 신었다.
어린이의 치마도 어른과 동일하다. 어릴 때는 주로 홍색 치마를 입지만 의례(儀禮)에는 남색 치마 위에 홍색 치마를 덧입기도 하였다.
 
참고 문헌
박성실 외(2005), 『조선시대 여인의 멋과 차림새』, 단국대학교 출판부.
문경시(2005), 『금선단 치마 입고 어디 다녀오셨을까』.
박성실(2006), 「출토복식을 통해보는 임진왜란 이전 남녀복식의 조형적 특징」, 『韓國服飾』 第24號,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집필자 : 이명은(李明恩),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제공 : 김인자(중요무형문화재 제89호 침선장 이수자)]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빠른 이동 메뉴
  • 주소 : (03060) 서울시 종로구 종로구 율곡로 33 안국빌딩 7층
Copyright © KCDF.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