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복사전

광다회

광다회는 비단실로 폭이 넓고 단면을 납작하게 짠 띠로, 포를 입고 허리에 둘렀다. 조선후기에는 주로 융복용 철릭 위에 사용하였다. 3품 이상은 홍색 계통의 광다회를, 그 이하는 청색 계통의 광다회를 사용하였다. 술머리에 금전지를 넣고 망을 떠서 화려하게 장식하였는데 시대가 내려올수록 망장식이 길어지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형태의 광다회는 19세기 이전에 많이 사용되었다.
 
참고문헌
강순제 외(2015),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김시재(2008), 「조선시대 조대(絛帶)의 형태적 특징과 제작법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시재, 조우현(2012), 「조선시대 조대(絛帶)와 끈목 제작에 관한 연구」, 『조형디자인연구』 15(3), 한국조형디자인학회.
이화여자대학교 담인복식미술관(2021), 『조선시대 帶』, 이화여자대학교 담인복식미술관.

 

[집필자 : 박가영(朴嘉玲), 숭의여자대학교]
[키워드 : 광다회, 廣多繪, Waist cord]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빠른 이동 메뉴
  • 주소 : (03060) 서울시 종로구 종로구 율곡로 33 안국빌딩 7층
Copyright © KCDF.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