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복사전

무지기

여성들이 성장(盛裝)할 때 치마 속에 입은 여러 층으로 된 속치마이다. 문헌에는 ‘無足(무족), ‘無足衣(무족의)’, ‘無足裳(무족상)’, ‘無足裙(무족군)’ ‘無竹伊[무지기]’ ‘무죡치마’로 기록된다. 형태는 모시나 무명으로 만든 홑치마를 여러 층으로 겹쳐서 하나의 허리말기에 고정하고 양쪽에 끈을 달아 치마와 같은 방법으로 착장한다. 입었을 때 풍성한 볼륨감으로 겉에 입은 치마 맵시를 뽐낼 수 있어 기녀들이 애용하였으며 서민들도 치마 안에 갖추어 입었다.
‘無足(무족)’은 이름 그대로 다리가 없다는 의미를 담아 종아리에 오는 정도의 길이를 가진 짧은 치마로 추정된다. 18세기 후반에 이덕무가 쓴 『청장관전서(靑莊館全書)』 「사소절(士小節)」에는 짧고 작은 흰 치마를 입은 다음 겉치마를 걸치는데, 이때 ‘무족칠합(無足七合)’ 또는 ‘오합’을 입는다고 하였으며, 작자 미상의 조선후기 희곡인 『동상기(東廂記)』에는 신부의 속치마로 삼합(三合) 또는 오합(五合) 무지기[無竹伊]를 기록하고 있다. 『거가잡복고(居家雜服攷)』에도 치마 안에 짧은 치마 십 수개를 단 무족군(無足裙)을 입는데 이는 고려시대에 시작된 것으로, 풀을 먹여 뻣뻣하게 하였으며 그 위에 다시 큰 군롱(裙籠[대슘치마])을 덧입는다고 하였다. 이처럼 ‘무족’은 길이가 짧다는 의미로 이해되며, 3층에서 7층까지 다양한 층을 내어 속에 받쳐 입어 겉치마를 풍성하게 보이도록 하였다. 19세기 왕실 『발기』류에는 ‘무죡치마, 無足裳’ 등으로 표기한 다량의 무족치마가 기록되어 있는데, 모두 염색하지 않은 백색의 모시와 면포로 만든 것이다. 뻣뻣한 질감의 옷감을 사용함으로써 겉에 입은 치마를 더욱 풍성하게 보이기 위한 것으로 추정된다.
근대의 무지기 치마가 경운박물관과 국립민속박물관에 소장되어있다. 치마 끝 부분을 분홍색으로 물들인 모시로 만든 것으로 끝단까지 주름을 잡아주어 3층으로 겹쳐 만든 3합 형태이다. 조선 후기 풍속화 중에는 기녀가 입은 치마 안으로 속치마가 여러 층으로 묘사되어 무지기 치마의 가능성이 엿보인다. 속옷 끝단의 모양으로 보아 보통 치마 같이 상부 주름만 잡아 만든 형태인 것, 바지의 각 폭에 주름을 잡아 만든 것 등이 보인다. 

 
 

[제공 : 이연(소색)]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빠른 이동 메뉴
  • 주소 : (03060) 서울시 종로구 종로구 율곡로 33 안국빌딩 7층
Copyright © KCDF.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