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화
전통 회화 일월오봉도
디자인 테마 <전통 회화>
전통 회화는 민족마다 자국의 풍토 속에서 오랜 세월 구축해 온 고유한 예술관과 세계관을 담고 있다. 그 중에서 일월오봉도는 해와 달, 다섯 개의 산봉우리를 그린 그림이다.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궁중 회화이자 왕을 상징하는 그림으로 실내․외를 막론하고 항상 왕이 앉는 자리 뒤에 배치된다.
일월오봉도 병풍 ⓒ 국립고궁박물관
윈도우시트 <전통 회화>
인쇄 파일
제작 사양
- 크기 : 가로·세로 비율 유지하면서 자유롭게 사용
(가로 길이가 2일 때 세로 길이가 1이어야 함)
- 재질 : 시트지
- 가공 방법 : UV 인쇄
블라인드/발 <전통 회화 E>
제작 사양
- 크기 : (가로 x 세로) 900 x 1800mm x 2
- 재질 : 방염원단 0.8mm
- 가공 방법 : 디지털 출력
테이블매트와 수저집 <전통 회화 B>
보자기, 영업 알림판과 예약석 표기판 <전통 회화 B>
쇼핑백, 띠지와 스티커 <전통 회화 B>
그래픽 모티프 <전통 회화>
자료출처
- 한식당을 위한 한국적 이미지 활용 가이드북Ⅱ ⓒ 2022,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 국립고궁박물관「일월오봉도 병풍」
참고문헌
- 한국민족문화대백과(encykorea.aks.ac.kr) 「일월오봉도」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