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문양활용

2편. 전통문양이 담아낸 공간의 이야기
등록일2023-01-13 조회수4407
‘동재기나루터에서 동작역까지’ 전통문양이 담아낸 공간의 이야기
‘동재기나루터에서 동작역까지’ 전통문양이 담아낸 공간의 이야기
한국전통문양갤러리로 변모한 동작역 환승센터

세계 약 180여개의 지하철에 대한 평가에서 한국의 철도 시스템은 최고로 평가 받은 바 있다(홍콩 일간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2021). 지하철은 열선내장 좌석, 환승의 용이성, 청결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우수함을 자랑하는 한편 현대인의 바쁜 일상에서 비교적 정확한 시간 관리를 보장하는 교통수단으로 내외국인을 불문하고 이용이 편리해 활용도가 높다. 지하철 4호선과 9호선이 만나 환승하는 인원으로 늘 붐비는 동작역 환승무빙워크 존에 21년 11월, ‘한국전통문양갤러리’가 조성되었다. 이는 유니인컴이 참여한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의 전통문양 산업활용 기반구축 사업의 일환이다.

전통문양 갤러리가 조성된 동작역 환승 통로 구간

전통문양 갤러리가 조성된 동작역 환승 통로 구간

공간이 품은 이야기

동작역의 현 위치는 국립서울현충원과 접한 지리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동작대교 남단에 지상역으로 조성된 4호선과 현충원 바로 앞에 세워진 지하역 9호선이 만나 환승역이 되면서 긴 에스컬레이터가 있는 환승통로는 늘 이용객으로 붐빈다. 동작역이 위치한 이 지역은 조선시대 한양도성으로 들어가기 위해 한강을 건널 때 이용하던 ‘동재기나루터’가 자리하던 곳이다. 동작동 강변에 위치한 도선장(渡船場)을 ‘동재기’로 불렀고 이 명칭이 현재로 이어진 것이다. 나중에 한강 인도교가 세워지면서 나룻배는 사라졌고 자동차와 전통차가 오가는 동작대교가 세워졌다.

겸재정선의 동작진도 ⓒ 겸재정선미술관

겸재정선의 동작진도 ⓒ 겸재정선미술관

전통문양으로 표현하는 공간디자인

다양한 색과 모양이 합쳐져 한국의 문화와 정서를 드러내고 있는 것이 바로 한국전통문양이다. 동작역 환승센터를 이용하는 이용객들에게 동작역의 과거와 현재의 이야기를 전달하면서도 아름답고 조화로운 공간을 통해 일상 속에서 환기가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우리 전통의 ‘미’를 간직한 ‘한국전통문양갤러리’가 기획되었다. BI(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에는 한국의 전통적인 색동과 ‘흥’이 주는 곡선의 유동적인 요소를 담아 한국의 아름다운 가치를 표현하였다. 스토리텔링을 위해 나룻배를 통해 동재기나루터의 풍경을 담아냈고 나룻배 전통문양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표현했다.

나룻배 전통문양을 현대적으로 해석한 아트월 디자인

나룻배 전통문양을 현대적으로 해석한 아트월 디자인

국립서울현충원을 표현하기 위해 벽면 문양에 호국보훈, 무궁화 등 국가적 상징을 한국전통문양으로 디자인했다. 현대적인 색재로 재해석한 레인보우필름의 색상변화로 주목도를 고려했다.

국립서울현훙원을 표현한 전통문양 아트월 디자인

국립서울현훙원을 표현한 전통문양 아트월 디자인

공간에서 지속된 생활, 활력, 흥을 표현하는 데에는 24절기의 우리 자연과 제기차기, 윷놀이, 씨름, 투호놀이, 팽이치기 등 한국의 전통놀이문화를 표현하는 전통문양이 적용되었다. 무빙워크를 이용하는 대중들이 빠른 속도로 아트월과 6개 기둥의 디자인을 지날 때, 동작역의 과거와 현재의 이미지에 시선을 돌리고 또 직관적으로 느낄 수 있도록 화려한 색채와 주목도 높은 디자인을 반영했다.

[제기차기(입춘, 우수, 경칩, 춘분], [윷놀이(청명, 곡우, 입하, 소만)], [팽이치기(대설, 동지, 소한, 대한)]

[제기차기(입춘, 우수, 경칩, 춘분]

[윷놀이(청명, 곡우, 입하, 소만)]

[팽이치기(대설, 동지, 소한, 대한)]

한국의 놀이 문화를 표현한 전통문양 기둥 디자인

전통문양이 가진 매력

지하철이라는 공공 공간에 그 공간이 품은 이야기를 디자인으로 재해석하는 이번 시도를 통해 단조로운 이동 공간이 한국전통문양의 개성을 통해 아름다우면서도 다양한 스토리텔링이 가능한 장소로 변화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전통문양이 가진 힘은 전통을 표현함은 물론이고, 현대 우리 생활에 자연스럽게 어우러질 수 있는 모습을 담고 있으며, 시각적 아름다움을 전달하는 표현 기능이 있어서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전통문양 갤러리로 조성된 공간

전통문양 갤러리로 조성된 공간

활용 전통문양

 

자료출처
  • 2021 전통문양 산업활용 기반구축 e-book ⓒ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참고문헌
  • 문화원형백과 「동재기나루터」 (22.10.25) 본문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빠른 이동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