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화

조선시대 성균관(成均館)은 유학교육을 전담하는 최고학부로, 오늘날로 치면 국립대학교와 같은 곳이었다. 성균관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소과의 하나인 생원시 진사시에 합격을 하거나 공신과 3품 이상 관리의 적자(嫡子)로서 『소학(小學)』에 능통해야 하는 등, 일정한 자격을 갖춰야만 가능했다. 그 대신 성균관 유생은 따로 학비가 없었고, 숙식(宿食)이 무료로 제공되었다. 성균관은 정원이 200명으로 제한되어 있고 아무나 출입할 수 없었으므로, 외부인들이 성균관의 내밀한 생활을 속속들이 알기란 쉽지 않다. 하지만 매우 다행스럽게도 조선 후기의 문인 윤기(尹愭: 1741-1826)가 남긴 『무명자집(無名子集)』에 성균관 유생들의 생활을 엿볼 수 있는 내용이 담겨 있어서 이러한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다. 윤기는 1773년(영조 49)에 사마시에 합격하여 성균관에 들어가서 약 20여 년간 성균관 생활을 했다. 그러면 윤기가 남긴 『무명자집』을 중심으로 하여 성균관 유생들의 식생활을 재구성해보기로 하자. 일단 성균관에 입학하면, 유생들은 기숙사인 동재(東齋) 서재(西齋)에 나누어 기숙하면서 공부를 했다. 이들에게는 아침, 저녁 하루 두 끼 식사가 식당에서 제공되었다. 유생들이 식당에서 하루 두 끼 식사를 하면, 도기(到記)라고 하는 장부에 원점(圓點)이 찍힌다. 이는 오늘날의 출석부와 같은 것으로, 원점이 일정 기준에 도달해야만 과거에 응시할 수 있는 자격이 주어졌다. 흥미로운 점은 음력 2월과 8월 사이에는 점심(點心)이 제공되었는데, 이는 도기에 따로 표기하지 않았던 듯하다. 유생들의 하루는 북소리와 함께 시작된다. 동재의 맨 윗방을 약방(藥房)이라고 하는데, 그 서쪽 창밖에 북을 매달아 두고 새벽마다 북을 치며 유생들의 잠을 깨운다. 북소리에 맞춰 잠을 깨고 북소리에 맞춰 세수를 한 다음, 유생들은 식고(食鼓, 식사 시간임을 알리는 북)가 울리기를 기다려 식당에 착석한다. 유생들이 정돈하여 줄지어 앉고 나면 소반 대신 마포(麻布)를 깐 후, 각 유생에게 밥, 국, 간장, 김치, 나물, 젓갈, 자반, 생채가 담긴 여덟 그릇의 음식이 제공된다. 이때 도기 당번을 맡은 재직(齋直, 성균관 재사의 각 방에서 잔심부름을 하던 소년)이 도기책에 출석을 기록하고, 하색장(下色掌, 성균관 유생의 자치임원)이 맨 끝에 식사에 참여한 총 인원을 기록한다. 식사는 구령에 맞춰 함께 시작되고, 함께 마무리된다. 성균관에서는 간혹 학생들에게 특식을 제공했는데, 이를 ‘별미(別味)’라 하였다. 매달 1일과 6일이 드는 날에는 ‘대별미(大別味)’라 하여 특식이 주어졌는데, 창고를 관리하는 고지기(庫直)가 미리 유생들에게 각자가 요구하는 것을 물어 큰 사기대접에 담아 올렸다. 대별미로 제공된 음식들 중에는 소고기, 양탕, 염통구이 등이 있었다. 그리고 매달 3일과 8일이 드는 날에는 ‘소별미(小別味)’라 하여 고깃국이나 고기구이가 제공되었는데, 양이 매우 적고 맛도 좋지 않아서 유생들의 불만을 샀다. 또한 한식과 추석을 제외한 절일(節日)에는 고기가 ‘별공(別供)’으로 제공되었다. 유생들이 가장 풍족하게 먹을 수 있는 때는 섣달 그믐부터 정월 초사흘까지였는데, 이때는 객지에서 새해를 맞는 시름을 달래주기 위해 매일같이 별공(別供)이 풍족하게 제공되었다. 그리고 복날에는 특별히 더위를 식혀줄 복달임음식이 제공되었는데, 초복에는 개고기 한 접시, 중복에는 참외 두 개, 그리고 말복에는 수박 한 통이 올라왔다. 윤기는 초복에 나오는 개장국이 적기는 해도 중복에 나오는 참외 두 개보다 낫고, 말복에 나오는 수박은 입안을 시원하게 해주므로 가장 좋다고 하였다. 반면, 유생들이 가장 꺼리는 날은 국기일(國忌日, 임금의 제삿날을 일컬음)이었다. 국기일에는 소찬(素饌)이라고 하여 생선 대신 두부, 젓갈 대신 콩잎이 나오는데, 유생들은 “국기일에 소찬을 먹는 것은 오직 성균관 유생들뿐”이라며 불만을 토로하였다.
- 제작자
- (사)한국지역인문자원연구소
- 집필자
- 양미경
- 발행기관
-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원연합회
- 저작권자
- 한국문화원연합회
- 분야
- 한식[의례]
- 이미지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