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이야기

신라시대에도 인공숲이 있었다고? 한국의 방풍림과 호안림
등록일 2021-04-26 조회수2055
신라시대에도 인공숲이 있었다고? 한국의 방풍림과 호안림

신라시대에도 인공숲이 있었다고? 한국의 방풍림과 호안림

우리나라에는 신라시대에 이미 인공숲을 조성해 홍수와 염해로 인한 피해를 예방해왔다. 경남 함양에 위치한 상림숲은 고운 최치원이 홍수 피해를 막기 위해 통일신라시대에 조성한 호안림이다. 무려 천년 전에 조성된 숲인 상림과 함께 남해 물건방조어부림, 영양 주실망르숲 등 마을 주변에서 방풍림이나 호안림 역할을 했던 이 땅의 인공숲을 찾아간다.

함양 상림, 천년을 이어온 생명의 숲

생명이 잉태되는 숲은 언제나 우리들 곁에서 인간을 보호하는 역할을 해왔다. 나무와 숲은 자신을 훼손한 인간과 문명의 이기마저 그 넓은 품에 보듬어 안는다. 꽃을 피우고 녹음을 만들어 한여름에는 시원한 그늘을 선사하고, 강한 바람으로부터 마을을 보호하는 숲을 가리켜 우리 조상들은 방풍림 혹은 호안림이라는 이름으로 부르며 가꿔왔다. 강산이 수천 번 바뀌는 동안에도 그 넉넉한 자태를 잃지 않은 채 우리를 보호해온 숲을 찾아가 볼까?

지난 1962년 천연기념물 제154호로 지정된 함양 상림은 길이 약 1.4km 폭 1백~2백미터 정도로 그 면적만 20만㎡가 넘는 거대한 인공림이다. 상림의 역사는 통일시라 진성여왕 시대인 천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이 지역의 하천인 위천이 범람하여 지금의 함양이 큰 피해를 입자 태수였던 고운 최치원이 둑을 쌓고 호안림(護岸林)을 조성했는데 그것이 바로 지금의 함양 상림으로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 조성 당시에는 ‘대자연의 쉴 만한 숲’을 뜻하는 대관림(大館林)이라 부르며 잘 보호해 오다가 천년을 이어오는 동안 상림과 하림으로 나뉘었고, 하림에는 마을이 들어서게 되어 지금은 흔적만 남았다. 물론 천년의 세월을 자양분 삼아 생명력을 이어온 상림의 아름다움은 여전하다.

함양 상림은 특히 여름에 그 진가를 발휘한다. 하늘이 잘 보이지도 않을 만큼 울창하게 자란 아름드리나무가 그 넓은 품에 드리운 그림자 덕분이다. 숲길을 걸으면 바람에 흔들리는 나뭇잎 소리가 더욱 큰 청량감을 안겨준다. 숲 안쪽에는 상림을 조성한 고운 최치원의 유허비가 세워져 있으며 사운정(思雲亭)과 함화루(咸化樓)라는 누각이 자리하고 있다. 특히 함화루는 그 역사가 오래된 누각이다. 본래 조선시대 함양읍성의 남문이었는데 지리산이 보인다는 뜻에서 망악루로 부르다가 1932년 상림 안쪽으로 옮기면서 함화루로 고쳐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함양 상림에 조성된 산책로 ⓒ디자인밈 함양 상림에 조성된 산책로 ⓒ디자인밈
상림에 만개한 붉은 꽃무릇 ⓒshutterstock 상림에 만개한 붉은 꽃무릇 ⓒshutterstock

남해 물건방조어부림, 마을을 수호하는 어부의 숲

그 옛날 충무공 이순신 장군이 조선 수군을 이끌고 생애 마지막 전투를 치렀던 노량해협을 품고 있는 남해군에 가면 짠 바다 내음을 머금은 해풍이 계절을 가리지 않고 불어온다. 남해군의 섬 동남쪽 끝자락, 유명한 관광지인 독일마을이 펼쳐지는 삼동면 물건리에는 마치 바다에 장벽이라도 두른 것 같은 형태의 기다란 숲이 눈에 띈다. 함양 상림과 마찬가지로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인공숲 물건방조어부림이다.

물건방조어부림(勿巾防潮魚付林)은 지금으로부터 380여 년 전, 마을 사람들이 바다에서 불어오는 바람으로 인한 염해(鹽害)로부터 농작물과 마을을 보호하기 위해 조성한 숲이다. 반달 모양의 물건항 해안선을 따라 수백 년 묵은 거목들이 모여 이루어진 숲 안에는 높이 10~15m 정도의 팽나무, 푸조나무, 상수리나무, 느티나무, 이팝나무, 후박나무 등이 자라고 있다. 그밖에도 수십 종이 넘는 다양한 수종이 자라고 있어 물건방조어부림은 마치 작은 생태계를 보는 듯하다. 숲의 폭은 30m, 길이는 무려 1.5km에 달할 정도로 규모가 커서 독일마을에서 가장 높은 광장에서 바라보아도 숲이 뚜렷하게 보일 정도다. 바로 이 숲이 만드는 그늘은 물고기를 불러들이기 때문에 이름 뒤에 어부림(魚付林)이 붙었다고 한다.

물건리 마을 주민들은 조상들의 지혜로 만들어진 이 숲을 보호하기 위해 지금도 노력하고 있다. 숲이 해를 입거나 사라지면 마을도 존속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전해오는 이야기에 따르면 일제강점기 일본인들이 물건방조어부림의 느티나무를 자르려고 시도했던 적이 있는데, 당시 마을 사람들은 “숲을 없애겠다면 차라리 우리를 죽여라”고 필사적으로 맞서 보호한 일이 있을 정도라고 한다.

물건방조어부림의 아름드리 나무들 ⓒ디자인밈 물건방조어부림의 아름드리 나무들 ⓒ디자인밈
독일마을에서 바라본 물건방조어부림 ⓒ디자인밈 독일마을에서 바라본 물건방조어부림 ⓒ디자인밈

영양 주실마을숲, 청록파 시인 조지훈의 고향

경상북도 영양군은 지금도 직접 닿는 고속도로가 없는 영남지방의 호젓한 고장이다. 그 중에서도 영양군 일월면은 비교적 최근까지도 오지로 분류되던 마을이다. 이곳 일월면에는 청록파 시인 조지훈의 고향으로 알려진 주실마을이 위치하고 있다. 그런데 주실마을 입구에는 마치 마을의 존재를 숨기기라도 하려는 듯 제법 품이 깊은 숲이 있다. 마을 사람들이 대대로 가꿔온 주실마을숲이다.

마을 사람들이 100여 년 전 이곳 마을 입구에 소나무를 심었던 것이 주실마을숲의 시작이었다. 그 뒤에도 느티나무, 팽나무, 버드나무, 참느릅나무 등을 식재하여 지금은 커다란 숲을 이루게 되었다. 시인의 숲이라 불리기도 하는 주실마을숲은 지난 2008년 산림청과 유한킴벌리가 공동 주최한 ‘아름다운 숲 전국대회’에서 대상인 ‘생명상’을 수상하며 숲과 사람이 공존하는 모범 사례로 회자되기도 했다.

숲을 통과하면 오른편에 보이는 마을은 한양 조씨 집성촌이다. 청록파 시인 조지훈이 유년기를 보냈던 이곳에는 조지훈의 생가를 비롯해 문학관, 옥천종택, 창주정사, 침정전 등 오래된 고택들이 여럿 남아있다.

100여 년 전 조성된 주실마을숲 ⓒ디자인밈 100여 년 전 조성된 주실마을숲 ⓒ디자인밈
주실마을은 시인 정지용의 고향이다 ⓒ디자인밈 주실마을은 시인 정지용의 고향이다 ⓒ디자인밈
빠른 이동 메뉴
  • 주소 : (03060) 서울시 종로구 종로구 율곡로 33 안국빌딩 7층
Copyright © KCDF.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