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백과
유교적 격식을 보여주는 솟을대문
- 출처
- 한국의 창 문
- 작가
- 임석재
- 출판일
- 2005
유교적 격식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로 솟을대문을 들 수 있다. 비록 문에 국한하지 않더라도 솟을대문은 전통 건축 전반에서 유교적 형식미의 대표적인 예이기도 하다. 유교적 형식미란 사회미의 한 종류로 미의 근거를 집단적 가치에서 찾는 것이다. 유교에서 인정하는 건축미는 규범적 미이다. 이것의 근거는 선(善)의 개념으로서의 미의 공통적 규칙성이다. 미도 선이라는 공통의 도덕을 통해 인간 사회가 유지 발전하는 데 도움을 주어야 한다고 믿었다. 이것이 규범적 미이자 사회미이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빠른 이동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