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백과
허균.허난설헌
1569∼1618 / 조선중기의 문인, 정치가, 최초의 한글소설 <홍길동전> 저술
- 문화관광부는 조선중기의 문인이자 정치가며 최초의 한글소설 <홍길동전>을 저술한 허균(許筠 : 1569∼1618)선생과 애상적이고 도교적인 시풍의 여류시인 허난설헌(許蘭雪軒 : 1563∼1589)선생을 9월의 문화인물로 선정하였다.
생애 및 업적
-
교산 허균과 난설헌 허초희는 문향(文鄕) 강릉이 낳은 빼어난 오누이 문인이다. 조선 중엽 강릉에서 태어난 허균은 혼란한 시대에 잦은 국난과 외침, 파쟁에 시달리면서도 부패하여 무너져 가는 나라를 걱정하면서 새로운 이념을 제시하였는데, 종교적인 측면에서도 유교사회 하에서도 불교와 도교, 천주교 심지어 민속종교를 넘나드는 사상의 자유로움을 지녔을 뿐 아니라, 오도된 권위와 사회적 질곡에 맞서 개혁과 저항의 행동가로 평생을 보냈다.
그는 당시의 시대적 한계와 사상의 획일성에 반기를 들고 부패한 정치와 잘못된 제도를 실천적으로 개혁하려 했으며, 백성이 나라의 근본이며 오직 두려워 할만한 자는 백성뿐이라고 갈파하여 왕조사회를 뒤흔들었고, 더 나아가 바른 정치를 이끌어나갈 호민(豪民)인 민중들이 힘을 보여줄 것을 권고하였다. 또한 미래지향적 이상국가의 실현을 현실정치를 통해 실천하기를 꿈꾸었다. 따라서 그를 선구자나 선각자라고 평하기보다는 실천가요, 행동가요, 개혁가라고 해도 지나치지 않다. 그는 조선왕조가 무너질 때까지 유일하게 복권되지 못했으며, 모두가 언문이라고 천시하던 한글로 이상국가의 꿈을 그린 <홍길동전>을 남겼다. 한마디로 그의 꿈은 평등사회, 개방사회, 국제사회를 실천하는 것이며, 이미 400년 전에 우리가 나아갈 민주사회의 바른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이 특히 부각된다.
허균의 누이인 난설헌 허초희는 27세로 요절하였지만, 사후에 나온 213수의 난설헌 시집으로 동양 삼국에 가장 뛰어난 여성시인으로 평가를 받았다. 난설헌은 여성에게 주어진 질곡의 사회적 제한을 극복하지 못하고 규원(閨怨)의 세 가지 한(고부간의 갈등, 남편과의 불화, 두 자녀의 죽음)을 품고 살면서도 신선적 초월의 세계관을 그린 시에 자신의 한을 선명하게 표백했음은 놀라운 일이다. 남존여비(男尊女卑)가 엄연히 존재하던 사회에서 여성의 자유로운 창작활동이 허용되지 않았던 시대에 탁월한 시상을 형상화한 점도 높은 평가를 받을 수 있다. 허난설헌은 작은 나라에 태어난 것, 남자가 아닌 여자로 태어난 것, 인품과 시재를 겸비한 지아비를 못 만났고 자녀에게 모성애를 베풀지 못한 것을 세 가지 한이라 하였다. "참으로 하늘 선녀의 글재주를 지녔다"든가 "시와 문장은 하늘이 내어서 이룬 것들"이라는 허균의 평가를 굳이 빌리지 않더라도 그의 시에 응축된 시적 상상력과 영롱한 신선적 세계관은 시대를 초월한 감동으로 지속될 것이다.
빠른 이동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