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별 문화상징

빗살무늬토기
선정취지 및 필요성
  • 빗살무늬토기는 신석기시대에 우리나라 전역에서 만들어 쓴 질그릇으로 다양하게 그려진 그 기하학적 무늬는 미술사적으로나 문화인류학적으로 높은 가치를 지니고 있다. 뿐만 아니라 동북아시아 선사문화의 연계성 및 시원을 밝혀 주는 주요 상징이기도 하다.
역사적 배경 및 상징물의 의미
  • 빗살무늬토기는 신석기시대에 우리나라 전역에서 만들어 쓴 질그릇으로 즐문토기(櫛文土器)라고도 한다. 대체로 나무나 뼈연장 및 그것으로 만든 여러 가닥이 난 빗살모양의 무늬새기개를 가지고 그릇 바깥 면에 짤막한 줄을 배게 누르거나 그어서 새겼기에 통칭 ‘빗살무늬’라고 부른다. 이러한 빗살무늬는 질그릇에 따라 여러 모습을 나타내는데, 한국에서 가장 특징적인 것은 선과 점선으로 된 짧은 줄을 한쪽 방향으로 또는 서로 방향을 엇바꾸어 가면서 그려서 그 모습이 생선뼈처럼 생긴 것이다. 그릇 모양은 밑창이 달걀처럼 생긴 것과 밑이 납작하여 깊은 바리[鉢]처럼 생긴 것이 대표적인데, 그릇 종류에는 독모양의 큰 것을 비롯하여 항아리, 단지, 대접, 보시기 등에 이르기까지 여러 가지가 있다. 바탕흙에는 진흙에 모래만 섞은 것과 석면, 활석부스러기 같은 것을 섞은 것이 있으며, 그릇 색깔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갈색이 기본을 이룬다. 대체로 섭씨 600~700°의 열을 가하여 구운 것인데, 땅을 판 구덩이에서 별다른 특별한 시설 없이 장작불을 피워 구운 것으로 생각된다. 토기의 용도는 그 크기에 따라 각각 달랐을 것으로 추측하는데, 현재의 독과 같은 대형은 저장용, 중형은 취사용, 소형은 식기와 음식준비 과정에 각각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빗살무늬그릇은 신석기시대의 거의 전 기간에 걸쳐 쓰였으며, 그 전통은 청동기시대의 일부 질그릇에까지 계승되었다. 특히 한국에 특징적인 빗살무늬그릇은 한국을 중심으로 하여 중국 둥베이[東北]지방과 옌하이저우[沿海州] 등 주변일대에 널리 퍼져 있다. 한국의 빗살무늬토기는 그 기형, 무늬수법으로 보아 시베리아의 영향을 받아 발생한 것으로 보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즉 북유럽 일대에 번영한 캄케라믹(Kammkeramik : 櫛文土器)이 동쪽으로 전파되어 시베리아를 지나 한국으로 들어왔다고 생각하는 견해인데, 그 전래경로는 먼저 옌하이저우 지방에서 한반도 북동해안으로 유입되어 동해안을 따라 남해안을 거쳐 서해안으로 퍼져나간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의 빗살무늬토기와 시베리아의 빗살무늬토기는 제작방법, 문양의 구성방법 등 세부적인 면에서 차이가 크며, 방사성 탄소연대측정치가 옌하이저우보다 더 오래된 연대를 나타내는 점 등을 들어 한국의 빗살무늬토기의 자생설을 주장하는 견해도 있다.
다른 나라의 유사 사례
  • 빗살무늬 계통의 토기는 한반도를 비롯하여 시베리아, 중국, 일본 등에서 발견되고 있다. 특히 한반도 지역에서 다량의, 그리고 다양한 빗살무늬토기가 발견될 뿐 아니라 그 제작 시기가 다른 나라의 것보다 오랜 것이 적지 않다.
기대효과
  • 신석기시대 동북아시아 지역의 문화 동질성 및 전래 과정을 밝히는 주요유물이라 하겠다. 그러나 한반도전역에서 발견되는 빗살무늬토기는 그 종류 및 문양, 수량 등에서 가장 뛰어나다 하겠다.
문화사업 및 비영리 분야에서의 활용방안
  • 현대사회는 거의 질그릇을 사용하고 있지 않다. 더군다나 빗살무늬토기와 같은 초기의 질그릇을 일상생활에 쓰기는 매우 불편할 것이다. 그러나 다양한 ‘빗살무늬’만큼은 오늘날 문화산업으로 전승, 발전시킬 가능성은 충분하다고 본다.
참고자료
  • 한병삼, 「즐목문토기」, 『세계도자전집(17)』, 1979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10)』,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이기길, 『우리나라 신석기시대의 질그릇과 살림』, 백산자료원, 1995 임효재, 『한국신석기문화』, 집문당, 2000 <임학성>
빠른 이동 메뉴
  • 주소 : (03060) 서울시 종로구 종로구 율곡로 33 안국빌딩 7층
Copyright © KCDF.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