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별 문화상징

분청사기
선정취지 및 필요성
  • 청자는 중국에도 있지만 분청사기는 한국에만 있는 고유의 도자기이다. 회색 또는 회흑색의 태토 위에 정선된 백토로 분장한 뒤에 유약을 씌워 구운 조선 전기의 도자기로 분장회청사기의 준말이다. 뛰어난 품격을 자랑하면서도 지극히 서민적이고 단정하면서도 흐트러진 면모를 보이는 분청사기는 어쩌면 한국인의 미의식을 가장 잘 드러내는 자기이기도 하다. 외국, 특히 일본인들은 청자보다 분청사기를 대단히 사랑하며, 세계에 내놓아 손색이 없는 특색 있는 문화유산이다.
역사적 배경 및 상징물의 의미
  • 분청의 분장기법은 무늬를 나타내는 수단이기도하고 백자로 이행하는 중간단계이기도 하다. 역사적으로는 고려 말 청자로부터 분화하여 15~16세기의 약 200여년에 걸쳐서 제작되었다. 청자는 14세기 중엽부터 퇴락국면으로 접어드는 반면에 조선 초기에 고려 말 청자와는 완연히 다른 도자기들이 생산되기 시작한다. 인화무늬와 상감무늬기법이 조선초기부터 거의 동시에 발달하였으며, 박지기법·귀얄기법·철화기법의 순으로 발달해나간다. 15세기 중엽에 이르면 인화기법· 귀얄기법 등이 더욱 증가한다. 따라서 무늬보다는 백토분장이 주가 되고 차츰 태토와 표면분장 상태가 백자화 되어간다. 이러한 과정에서 임진왜란이라는 외적 요인과 사기제조에 있어서 제도상의 문제 등 내적요인으로 말미암아 분청사기는 더 이상 발전하기 못하고 소멸한다. 국화· 나비· 연판 등의 모양을 도장처럼 찍어서 무늬를 표기한 인화기법, 상감을 넣어서 문양을 빚은 상감기법, 귀얄로 백토분장을 하거나 백토 물에 담갔다가 꺼낸 뒤에 무늬를 그리고 무늬 이외의 배경을 긁어낸 뒤에 생시는 무늬인 박지기법, 회흑색의 태토 위에 귀얄로 백토분장을 한 뒤에 철사안료로 무늬를 그리고 시유한 철화기법, 분청사기에 있어서 모든 백토분장기법의 기초를 이루며 귀얄기법 이외에 다른 기법이 첨부되지 않은 상태를 말하는 귀얄기법, 백토 물에 덤벙 담갔다가 꺼낸 분장기법 등 다양한 기법이 연출되었다. 분청사기는 청자 등과 더불어 다양한 유물들이 국보 및 보물로 지정된 상태이다. 그만큼 뛰어난 예술적 미감을 보여주고 있다.
다른 나라의 유사 사례
  • 백토분장기법은 중국에서는 오대·북송대에 걸쳐서 자주요(磁州窯) 일대에서 한때 유행했으며, 관기(官器)보다는 민간용기로 생산되었다. 그러나 한국에서처럼 생동감 넘치고 완벽한 형태의 분청사기는 존재하지 않았다. 그러한 점에서 분청사기는 한국만의 가장 각별하고도 유일한 자기로 인정된다.
기대효과
  • 분청은 기왕에 외국인들에게도 사랑받아왔다. 차제에 문화상징으로 지정됨으로써 청자, 백자와 더불어 한국을 대표하는 3대도자기로 보다 널리 알려지게 될 것이다.
문화사업 및 비영리 분야에서의 활용방안
  • 세계도자기 엑스포 등을 통하여 한국의 도자기가 세계로 알려지기 시작하였다. 과거의 해양실크로드가 일명 세라믹로드였던 데서 알 수 있듯이 중국은 전 세계에 알려진 도자기 중요생산국이었다. 그러나 한국은 중국 도자기의 아류로 잘못 알려지는 등 국제사회에서 덜 인정받고 있는 현실이다. 분청사기 같은 한국만의 독자적이고도 아름다운 자기의 명성을 되살려 새로운 도자산업으로 진흥시켜야할 것이다. 분청사기는 지극히 현대적이다. 가령 분장기법, 일명 '물텀벙기법'이라고도 부르는 순발력 있는 기법이 연출하는 자연적 미감과 생동감 넘치는 순간포착의 미학은 지극히 현대적일뿐더러 청소년들의 예술교육에도 이바지할 수 있다. 문화산업뿐 아니라 현대적 예술교육의 근거로 분청사기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청자와 백자가 일반 국민들에게 널리 알려진 것에 비하면 분청사기는 그만 못하다. 문화상징지정은 대국민적 문화유산 홍보·교육의 효과도 지닌다.
참고자료
  • 강경숙, 『분청사기연구』,일지사, 1986 <주강현>
관련이미지
빠른 이동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