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별 문화상징

제주도돌담
선정취지 및 필요성
  • 돌담은 어느 나라나 있으며, 한국의 경우에도 돌담은 흔하다. 그러나 전 지역이 전일적으로 돌담으로 이루어진 곳은 제주도가 유별나다. 그동안 돌담의 미학적 관점에 관하여 무관심하였으며 관광 문화적 가치에 관해서도 고려하지 않았다. 제주도의 돌담은 자연과 인공이 빚어낸 무한한 가치와 미학적인 아름다움으로 ‘재발견’되고 있다.
역사적 배경 및 상징물의 의미
  • 제주도는 삼다(三多)·삼무(三無)· 삼려(三麗)의 섬이다. 그 중에서도 삼다의 경우, 돌이 많은 섬으로 알려진다. 화산섬이라는 제주도의 조건은 산과 들과 갯가를 온통 돌밭으로 만들었으며, 제주문화의 핵심들은 이들 돌밭에서 태어났으니 돌담도 그 중의 하나이다. 김상헌이 ‘땅은 돌이 많아 흙은 몇 치만이 덮여있다’라고 하였으며, 이형상은 ‘섬 주위가 온통 뾰죡뾰족하고 괴상한 돌로 되어있다’고 조선시대의 선비들은 기록하였다. 그래서 돌로 만든 돌하르방 같은 조형물로부터 말방애, 물허벅에 이르기까지 생활도구들도 돌로 만들었다. 산과 들에는 산담, 집에는 집담, 바다에는 바당빌레, 고기를 잡는 원담에 이르기까지 , 심지어 무덤에도 담을 쌓았다. 밭농사지대인 강원도도 그 경계를 돌로 하는 경우가 있지만 논두렁 규모에 지나지 않는다. 반면에 제주도의 돌담은 말의 침범을 막고 바람으로부터 화산토가 날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대단히 높게 쌓는다. 무덤에도 바람이 불지 않게끔 돌담으로 두른다. 살림집에는 처마 끝과 돌담의 위가 맞붙게 만들어 바람이 들어설 틈을 주지 않는다. 바닷가에는 조간대에 돌담을 쌓아 밀물에 들어온 고기가 썰물에 갇히어 잡히도록 하였다. 해녀들이 옷을 갈아입고 쉬는 공간에도, 마을의 신당을 모신 성스러운 공간에도 돌담을 쌓았다. 이외에 국영목장을 구획했던, 아직도 지형도상에 나타나는 상잣담이나 하잣담, 환해장성(環海長城)은 밭담 등과 어울려 제주도로 하여금 흑룡만리(黑龍萬里)의 섬이라 불리도록 하였다. 중국의 만리장성을 황룡만리라 부르거니와 끊어지지 않고 이어지는 총연장 9,700리의 제주도 만리잣담을 부르는 명칭이다. 이처럼 제주도민에게 돌담은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한시도 눈길에서 놓을 수 없는 공간이다. 돌에서 왔다가 돌로 돌아가는 사람들이다. 태어나길 돌 구들 위에서 태어나고 죽어서는 산담에 둘러싸인 작지왓(자갈밭)의 묘 속에 묻힌다. 사는 집의 벽체가 돌이며, 울타리와 올래, 그리고 수시로 밟고 다니는 잇돌(디딤돌)이 모두 돌이다. 산길은 물론 밭길, 심지어 어장길도 모두 돌길이다. 그래서 제주사람들은 짚신 아닌 질긴 칡신을 만들어 신기도 하였다. 때로는 건축적 미감으로, 혹은 삶 그 자체의 현실로, 자연적 질서에서 배태된 소재를 가지고 지극히 작은 부분의 인공을 가미하여 구성한 제주도돌담은 제주도풍경의 재발견으로 다가온다.
다른 나라의 유사 사례
  • 돌담은 외국에도 있고 한반도의 다른 곳에도 있으나 이토록 철저하게 돌담으로 집담, 밭담, 갯담에 이르기까지 돌담문화를 이룬 곳은 세계적으로 드물다.
기대효과
  • 돌담을 지정함으로써 미처 몰랐던 돌담의 가치를 재확인하고 이를 문화관광자원화 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할 수 있다.
문화사업 및 비영리 분야에서의 활용방안
  • 돌담은 제주도민의 정신과 생활의 구심점으로 자리잡아왔으나 제주도관광자원의 범주에서 소외되어있다. 가령, 제주도의 어민들이 즐겨 세웠던 바닷가의 갯담(혹은 원담)은 고기잡이체험어장으로서의 효과도 있으며, 그 자체 경관적 가치가 있다. 아름다운 돌담들이 빚어내는 자연의 풍광은 그동안 제대로 평가되지 못한 점이 있으며 돌담의 문화관광자원화로 눈길을 돌려야할 것이다. 아름다운 제주도의 돌담길을 100여개쯤 선정하고 이를 걷는 것 자체만으로도 풍부한 상상력을 불러일으킬 것이다.
참고자료
  • 송성대,『제주인의 해민정신 - 문화의 원류와 그 이해』,파피루스, 1996 <주강현>
관련이미지
빠른 이동 메뉴
  • 주소 : (03060) 서울시 종로구 종로구 율곡로 33 안국빌딩 7층
Copyright © KCDF.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