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별 한복

공주예복, 公主禮服, Royal lady’s formal robe

· 시대 : 조선시대

· 신분 : 왕실 / 여자

· 출처 : 덕온공주(1822~1844년) 대례복(복원품) ( 석주선기념박물관 소장 )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표제어, 연관어 정보를 제공하는 표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표제어 연관어
의례복 공주예복 머리모양 큰머리 어여미, 큰머리 칠보
장신구 선잠, 떨잠
겉옷 원삼 녹원삼, 한삼
대대 원삼대, 봉대
기타 흉배 봉황흉배
아래옷 홍상
아래옷 스란치마 대란치마

왕녀가 어린아이일 때는 예복으로 당의를 입었다. 새앙머리에 새앙댕기를 매고 화관을 썼다. 금박 물린 당의의 가슴과 등, 양어깨에 용보[용흉배와 견화]를 달고 다홍색 스란치마를 입었다. 덕혜옹주의 사진과 유물을 보면 대한제국기 이후에는 왕녀도 용흉배와 견화를 썼음을 알 수 있으나 조선시대에는 『명온공주방상장례등록』에서 보듯이 봉흉배를 썼다.
어른이 된 왕녀는 원삼, 노의, 장삼 등의 예복을 입었다. 원삼은 가장 보편적인 예복으로 덕온공주, 화순옹주 등이 착용했던 녹원삼이 남아있다.
노의는 『세조실록』에 기록된 바와 같이 부인이 길을 갈 때 입는 옷인데 조선 후기까지 외출복으로 착용하였다. 청연군주(1754~1821년)묘에서 출토한 노의는 동시대 원삼과 동일한 형태를 지녔으며 색과 장식에서 원삼과 차이를 보인다. 노의는 대홍색이며 금원문 장식이 있고 안감으로 자적색을 사용했다. 공주가 노의를 갖출 때는 남색대를 띠고, 남사로 된 면사를 썼다. 그밖에 내외용 쓰개로 너울을 드리운 청초립을 썼다.
외명부로서 품계를 초월한 공주가 가례를 올릴 때는 친영의에 원삼을 입고, 궁을 나와 부마의 집으로 갈 때 노의를 입으며, 동뢰연의에 홍장삼, 공주 현구고례에 원삼을 입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홍장삼은 흔히 활옷이라고 부르는 신부예복이다. 『병와집』에 따르면 내명부와 결혼하는 여자는 거두미를 하고, 외명부는 어여미를 한다고 했으니 왕녀 혼례에는 거두미를 하고 그 밖의 의례에는 어여미를 했을 가능성이 높다. 『덕온공주가례등록』에는 자라(紫羅)로 만든 대요(帶腰)와 대홍라(大紅羅)로 만든 대요가 있는데 대요를 한 머리모양은 의친왕비 사진, 선조조 「기영회도」 등에서 볼 수 있다. 공주는 머리를 꾸밀 때 장잠, 대봉잠, 대목련잠, 원잠 등을 사용하였다. 
 

참고문헌

국립고궁박물관(2012), 『왕실문화도감』.

김소현(2017), 『조선왕실 여인들의 복식』, 민속원.

김아람, 최연우(2014), 「복식 고증을 통한 복온공주 혼례 친영반차도 구현」, 『服飾』64(7), 한국복식학회.

오선희(2019), 「조선시대 궁중 대례용(大禮用) 수식(首飾) 제도의 성립과 변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은주(2012). 「『덕온공주가례등록』을 통해 본 공주가례복식」, 『한국복식』 30,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집필자 : 김소현(金素賢), 배화여자대학교]
  • 기영회도(1585년, 선조18)
    기영회도(1585년, 선조18)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 덕혜옹주(1912~1989년)
    덕혜옹주(1912~1989년)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 덕혜옹주(1912~1989년)
    덕혜옹주(1912~1989년)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 청연군주 노의(1754~1821년)
    청연군주 노의(1754~1821년)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 복온공주 홍장삼(1818~1832년)
    복온공주 홍장삼(1818~1832년)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연관이미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빠른 이동 메뉴
  • 주소 : (03060) 서울시 종로구 종로구 율곡로 33 안국빌딩 7층
Copyright © KCDF.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