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름별 표준영정

한호 (韓濩)
1543(종종 38)~1605(선조 38), 조선의 서예가

 자는 경홍(景洪), 호는 석봉(石峯), 본관은 삼화(三和), 개성(開城)출신. 어려서부터 어머니의 격려로 서예(書藝)에 정진하여 왕희지(王羲之), 안진경(顔眞卿)의 필법(筆法)을 익혀 해서(楷書), 행서(行書), 초서(草書) 등의 각 체에 모두 뛰어났다. 그때까지 종국의 서체(書體)와 서풍(書風)을 모방하던 풍조(風潮)를 벗어나 독창적인 경지를 확립하여 석봉류(石峯流)의 호쾌(豪快), 강건(剛健)한 서풍을 창시했다. 1567년(명종 22) 진사시(進士試)에 합격, 글씨를 매우 잘 써 사자관으로서 국가의 여러 문서와 명나라 등에 보내는 외교문서를 도맡아 썼고, 중국에 사절이 갈 때도 서사관으로 파견되었다. 1599년 사어(司禦), 이어 가평군수(加平郡守), 1604년 흡곡 현령, 존숭도감 서사관(尊崇都監書寫官)을 지냈다. 이 동안 명나라에 가는 사신을 수행하거나 조선에 오는 사신을 맞을 때 연석(宴席)에 나가, 그의 정묘한 필치로 외국인들을 매혹시켜 동양의 명필로 이름을 떨쳤으며, 왕명에 따라 천자문(千字文)을 해서로 썼는데 이것이 판각(板刻)되어서 궁중이나 대신은 물론 전국 방방곡곡에 유포되어 온 나라에 석봉체(石峯體)가 풍미하게 되었다.


  그 후 석봉천자문은 조선 말엽에 이르기까지 여러 차례에 거쳐 중간(重刊)되어져서, 우리나라 천자문 하면 이 책이 연상되리만큼 크게 일반화되었다. 후기의 김정희(金正喜)와 함께 조선 서예계의 쌍벽을 이루고 있다. 그의 필적으로 석봉서법(石峯書法), 석봉천자문(石峯千字文) 등이 모간(模刊)되어 있을 뿐 진적(眞跡)으로 남은 것은 별로 없다. 그가 쓴 비문(碑文)이 많이 남아 있어 탁본(拓本)으로 유행하고 있다.


[作品 : 글씨] 箕子廟碑, 善竹橋碑 等 [文獻] 明宗, 宣祖寶錄, 國祖人物考 等

[영정개요]
- 표준영정 지정년도 : 1990
- 제작작가 : 홍용선
- 영정크기 : 세로117cm X 가로91cm
- 소 장 지 : 국립현대미술관

빠른 이동 메뉴
  • 주소 : (03060) 서울시 종로구 종로구 율곡로 33 안국빌딩 7층
Copyright © KCDF.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