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도별 문화인물

전체 : 178 페이지 : 8/ 18

 나철은 전남 벌교의 한미한 양반가에서 태어나 유교적 소양으로 과거에 급제하고 벼슬을 했다. 그가 개화사상에 눈을 돌려 근대화에 눈을 뜬 것도 유학자의 안목에서다. 그가 여러 차례의 도일활동(渡日活動)을 통해 외교적 독립을 외쳤던 것도 유교적 우국지사로서의 행동이요, 을사매국오적에 대한 주살(誅殺) 거사도 유학자로서의 비분강개였다. &nb

 이승휴는 자(字)가 휴휴(休休)이며, 스스로 호를 동안거사(動安居士)라 하였다. 이승휴는 가리 이씨(加利李氏)의 시조(始祖)로 알려져 있으나, 그의 행적 대부분은 강원도 삼척에서 발견된다. 이승휴의 어머니는 삼척에 살고 있었으며, 과거에 급제한 후에 삼척으로 내려왔다. 그리고 관직을 버리고 낙향을 할 때도 삼척 두타산에 은거하였으며, 그곳에서 『

 겸재 정선(謙齋 鄭敾 1676~1759), 현재 심사정(玄齋 沈師正 1707~1769), 표암 강세황(豹菴 姜世晃 1713~1791), 능호관 이인상(凌壺館 李麟祥 1710~1760) 등과 같은 시대에 활동한 최북은 그의 가계와 문집이 전하는 바가 없으나 예술적 면모, 괴벽스러운 성격, 다양한 교우관계 등이 최북을 아낀 이들의 문집이나 일기 속에

 효명세자는 역대 국왕 중에 가장 예술적 문학적 조예가 깊고 뛰어났으며 무엇보다도 춤을 사랑한 왕이었다. 효명세자는 조선 제 23대 왕인 순조(純祖) 9년 8월 9일 순조와 순원왕후 사이의 제 1자로 태어나 순조 12년(1812) 4세에 왕세자로 책봉되었으며 순조 27년 2월 18일부터 30년 5월 6일 급서하기 전까지 약 3년 3개월 동안 대리

 시인으로서의 한용운 1925년 만해는 사랑의 증도가 [님의 침묵]을 설악산 오세암에서 탈고한다. 그가 시인으로서 우리 문학사에 확고하게 자리를 잡게 되는 것은[님의 침묵] (회동서관, 1926)간행 이후라고 할 수 있다. 책의 서두에 그는 '독자여 나는 시인으로서 여러분 앞에 보이는 것을 부끄러워합니다. 여러분이 나의 시를 읽을 때에 나를 슬퍼하

 판소리 명창 정정렬(丁貞烈). 그는 19세기 말. ‘조선적’인 판소리 시대가 서서히 끝나갈 무렵에 태어나 오랜 수련을 통해 ‘일류 명창’, ‘국창(國唱)’의 칭호를 받았고, 훗날 평자들에게 ‘근세(近世) 오명창(五名唱)’의 하나로 꼽히는 등 최고의 명창이 소리꾼이다. 전북 익산 망성면 내촌리에서 태어나 일곱 살에 소리에 입문하였으며 서편제 명창

강경애는 식민지 시대 작가로서는 드물게 하층 여성의 목소리를 공식 기록으로 끌어올린 식민지 시대 하층 여성의 대변자이다. 1906년 황해도 송화에서 태어났으나 아버지가 일찍 죽은 뒤 나무껍질을 벗겨 먹어야 할 정도로 가난해서 다섯 살 무렵 먹고 살기 위해 재혼하는 어머니를 따라 장연으로 이사했다. 의붓형제들 사이에서 힘들고 가난한 유년기를 보내고 형부의

 신동엽은 1930년에 태어나 1969년 간암으로 타계할 때까지 시집 “아사녀” 한 권과 서사시 “금강”을 합동 시집으로 냈을 뿐이다. 살아생전 발표한 시는 20여 편에 불과하고 몇 편의 산문을 간헐적으로 선보였을 뿐이다. 그러나 그의 데뷔작 ‘이야기하는 쟁기꾼의 대지’를 비롯하여 ‘발’, ‘껍데기는 가라’ 등의 의미와 영향력은 작품의 양과는 무관

 임윤지당(1721~1793)은 조선 후기 영·정조시대에 강원도 원주에서 살았던 여성 유학자였다. 그녀는 일평생 유교 경전과 성리학을 연구하여 우주 자연과 인간에 대한 심오한 원리를 체득하였다. 그리고 부단한 수양과 도덕적 실천으로 높은 인격을 완성하여 달관의 경지에 이르렀다. 그리고 자신이 연구하고 체득한 것을 훌륭한 문장으로 저술하

 김종직(金宗直,1431-1492)은 성리 도덕의 학문으로 인격을 닦아 인륜의 기강을 바로잡고, 민본의 의리와 고유의 역사 풍토에 근거하여 문명사회의 이상 실현을 추구하였던 문인이요 학자며 정치가였다. 김종직은 정몽주(鄭夢周), 길재(吉再) 등이 수립한 학문 모범을 계승하여, 일상생활의 범절과 처신에서부터 사회 국가의 경륜에 이르기까지 유자로서의

검색
빠른 이동 메뉴
  • 주소 : (03060) 서울시 종로구 종로구 율곡로 33 안국빌딩 7층
Copyright © KCDF. All Rights Reserved.